정보게시판
올타과학 청담센터 청담윈수학학원 - 과학실험 8월 2주차 수업



8월 2주차
1~2학년(빅뱅E)
☆ 암기
● 결정 : 원자가 일정한 모양으로
반복되는 구조를 가진 고체 물질
● 재결정 : 물질을 한번 녹여서 용액으로 만들고,
그것을 가열하여 포화 용액이 된 후
온도를 내려서 결정을 석출해내는 과정.
온도에 따라 용해도가 다른 것을 이용한다.
★ 실험원리
- 소금 결정은 흰색의 정육면체 모양이다.
- 물질마다 결정 모양은 다르다.
- 결정이 생기는 이유는,
물에 녹았던 소금들이
물이 모두 증발 되면서
더 이상 녹아 있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.
소금물을 묻혔다 말리면
결정이 남게 되고
불을 붙이면 발화점에
도달하지 못하므로 타지않고
결정이 그대로 남아
끊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.
소금물을 묻혔다가 말리면
물만 증발되고
순수한 소금만 남아
결정 석출된다.
○ 주의사항
불을 태우는 실험이 있을 때
주의하여 관찰하게 한다.
3학년(아톰1)
☆ 암기
연역적 탐구방법 :
자연 현상을 관찰하면서
인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
잠정적 답인 가설을 세우고,
가설의 옳고 그름을
검증하는 탐구방법
순서 : 관찰 및 문제 인식 → 가설 설정 → 탐구 설계 및 수행 → 자료 해석 및 가설 검증 → 결론 도출 → (참인 경우) 일반화 or (거짓인 경우) 가설 재설정
귀납적 탐구 방법 :
자연 현상과 대상에 대한
여러 가지 관찰 사실을 종합하고
분석하여 이로부터 일반적인
원리나 법칙을 이끌어 내는 탐구 방법
순서 : 자연 현상 관찰 및 관찰 주제 선정 → 관찰방법과 절차의 고안 및 관찰 수행 → 관찰 결과 분석 → 결론 도출 → 일반화
★ 실험원리
세팍타크로 공 :
준정다면체의 하나인
십이이십면체로
12개의 정오각형과
20개의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.
한 점에 3개의 면이 모이면
합이 360도 이상이 되어서
평면이 때문에 정육각형 만으로 이루어진
정다면체는 존재하지 않는다.
○ 주의사항
세팍타크로 공 이음새가
바깥쪽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.
4학년(아톰2)
☆ 암기
잎의 구조
잎몸 :엽록체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
대체로 햇빛을 잘 받는 형태인 평평한 모양이다.
잎자루 : 잎몸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으로,
잎몸이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
비틀어지는 것이 가능하다.
잎맥 : 잎의 형태를 유지해 주고,
물과 영양분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.
턱잎 : 잎자루 아래에 있는
한 쌍의 잎사귀를 말한다.
속씨식물인 쌍떡잎식물에서는
쉽게 볼 수 있으나 양치식물이나
겉씨식물에서는 볼 수 없다.
잎의 분류 : 잎의 모양, 잎 가장자리 모양,
잎맥의 모양 , 잎의 개수 등
잎의 모양 : 둥근 잎, 바늘 잎,
손바닥 잎, 달걀 모양 잎 등
★ 실험원리
열가소성 플라스틱 :
가열하면 부드럽게 변하며,
틀에 부어 굳히면
새로운 모양을 만들 수 있다.
열경화성 플라스틱 :
가열하면 경화하며(굳어지며),
내열성과 내화학성이 높아서
쉽게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다.
슈링크 필름은
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종류로서
폴리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.
○ 주의사항
오븐에 구울 경우 안 데운 상태에서는
수십초 걸리지만,
오븐에 구운 후 다시 다른 슈링크필름에 데우면
수 초만에 데워진다.
힛툴로 사용할 경우 슈링크 필름에 가까이 하여
가열하면 처음에 많이 휘어진다.
그러다가 완전히 줄어들때까지
거리를 멀리 하지 않게 한다.
5학년(퀀텀1)
☆ 암기
일식 : 달이 태양의 전부
또는 일부를 가리는 천문현상
달의 공전궤도와 지구의 공전 궤도와
5도 어긋나 있어서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.
그래서 삭일 때 특정한 지역에서 볼 수 있다.
- 개기일식 : 태양의 시직경 ≤ 달의 시직경
태양을 완전히 가려져 코로나가 보인다.
- 금환일식 : 태양의 시직경 > 달의 시직경
태양의 겉부분이 고리로 보인다.
- 부분일식 : 달이 태양의 부분만 가리는 현상
월식 :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
1년에 2~3번 정도 일어나며 망(보름달)이 되고,밤이 되었을 때
볼 수 있다.
개기월식: 태양 - 지구 - 달이 공간에서 정확하게 정렬될 때 생기며
달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, 빛의 산란에 의해 짙은 빨간색이 보인다.
★ 실험원리
달의 위상 변화 확인
달의 공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
알기 위해서 바라보는 위치를 선정하고
공전할 때 발생하는 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
공전방향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면서
달의 오른쪽 부분부터 태양 빛에 반사되어 나오기 시작한다.
삭 - 초승달 - 상현달 - 보름달 - 하현달 - 그믐달 순으로 반복된다.
○ 주의사항
선을 교차하기 전에 번호를 표시하여서
어디를 기준으로 만들어야 하는지 확인한다.
6학년(퀀텀2)
☆ 암기
열팽창 : 온도에 따라 물체의 부피가 변하는 현상(고체<액체<기체)
온도 상승 시 변화 : 길이 증가, 부피 팽창, 입자 운동 속도 증가, 입자 사이의 거리 증가
기체는 물질에 관계없이 온도가 높아질 때 부피가 늘어나는 정도가 모두 같다.
바이메탈 : 팽창률이 서로 다른 두 금속을 붙인 것 바이메탈 가열 시
열팽창 정도가 작은 쪽으로 휜다.
바이메탈 냉각 시 열팽창 정도가 큰 쪽으로 휜다.
태양의 시직경 ≤ 달의 시직경
태양을 완전히 가려져 코로나가 보인다.
- 금환일식 : 태양의 시직경 > 달의 시직경
태양의 겉부분이 고리로 보인다.
- 부분일식 : 달이 태양의 부분만 가리는 현상
- 월식 :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
1년에 2~3번 정도 일어나며 망(보름달)이 되고, 밤이 되었을 때 볼 수 있다.
개기월식 : 태양 - 지구 - 달이 공간에서 정확하게 정렬될 때 생기며
달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, 빛의 산란에 의해 짙은 빨간색이 보인다.
★ 실험원리
달의 위상 변화 확인
달의 공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
알기 위해서 바라보는 위치를 선정하고
공전할 때 발생하는
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
공전방향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면서
달의 오른쪽 부분부터
태양 빛에 반사되어 나오기 시작한다.
삭 - 초승달 - 상현달 - 보름달 - 하현달 - 그믐달 순으로 반복된다.
○ 주의사항
선을 교차하기 전에 번호를 표시하여서 어디를 기준으로
만들어야 하는지 확인한다.
6학년(퀀텀2)
☆ 암기
열팽창 : 온도에 따라 물체의 부피가 변하는 현상(고체<액체<기체)
온도 상승 시 변화 : 길이 증가, 부피 팽창, 입자 운동 속도 증가, 입자 사이의 거리 증가
기체는 물질에 관계없이 온도가 높아질 때 부피가 늘어나는 정도가 모두 같다.
바이메탈 : 팽창률이 서로 다른 두 금속을 붙인 것
바이메탈 가열 시 열팽창 정도가 작은 쪽으로 휜다. 바이메탈 냉각 시 열팽창 정도가 큰 쪽으로 휜다.
★ 실험원리
화재경보기를 만드려면,
열팽창 정도가 작은 쪽으로 휘므로
휘어서 전기회로가 저절로
닫히는 방향으로 설치해야 한다.
○ 주의사항
바이메탈에 가열하게 되면
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이 있어서
맨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.
볼트, 와셔, 바이메탈,
너트를 끼워 고정하려면
너트를 처음과 끝을 넣어 감아야 한다.
퀀텀S
☆ 암기
대륙이동설 :
베게너가 주장하였으며
거대한 대륙 판게아가 갈라지고
이동하여
현재와 같은 대륙분포가 되었다는 학설
- 판게아 :
3억 3500만~1억 7500만 년 전
모든 대룩이 하나로 모인 거대한 대륙
- 증거
① 해안선의 일치 : 아프리카 대륙 서해안선과
남미대륙 동해안선 일치함
② 화석의 분포 : 남미와 아프리카 대륙에서
발견된 파충류화석과 식물 화석
(메소사우루스, 글로소프테리스 화석)
③ 빙하의 흔적 :
남아메리카, 아프리카, 인도, 호주지역에서
빙하의 흔적이 발견되었고,
빙하가 이동하면서 긁은 흔적의 방향을 역추론하니
여러대륙이 한 곳에 모이는 것을 발견함
④ 지층과 산맥의 불연속성 :
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북부 대륙의
지질구조의 연계성
한계 : 대륙이 이동하는 원동력을 밝혀내지 못함
판 구조론 :
지각과 맨틀 상부를 포함한
암석층이 이동하는 학설
- 증거 : 지진대와 화산대를 보면
단층이 있다는 것
★ 실험원리
약 3억 3500만년 전 대륙은
하나의 대륙이었다.
약 1억 5천만년 전 대륙은
판게아가 점점 갈라져
이동하기 시작했다.
약 6500만년 전 대륙은 남극대륙이
갈라져 퍼지게 되었고,
인도대륙이 유라시아 대륙쪽으로 이동했고,
남미대륙이 북미대륙과
가까워지고 있었다.
북미대륙은 유라시아 대륙과
떨어지게 되었다.
오늘날 대륙이 6대륙으로
나누어지게 되었다.
(유라시아, 아프리카, 북미, 남미, 호주, 남극)
○ 주의사항
지도를 오릴 때 선에 맞추어 오리고,
칼레이도 사이클을 만들 때
앞뒤로 접었다 펴야 돌려 넘기기 편하다.
청담윈수학학원 (정숙자수학학원)
02 546 3285

-
이전글
-
다음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