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게시판

올타과학 청담센터 청담윈수학학원 - 과학실험 8월 2주차 수업
조회 175 작성일 2024-08-16 15:37:35

  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- 실험과학 퀀텀2 반 8월 1주차 수업- - 실험과학 아톰2 반 8월 1주차 수업- - 실험과학 빅뱅E 반 8월 1주차 수업-


8월 2주차

1~2학년(빅뱅E)

☆ 암기

● 결정 : 원자가 일정한 모양으로

반복되는 구조를 가진 고체 물질

● 재결정 : 물질을 한번 녹여서 용액으로 만들고,

그것을 가열하여 포화 용액이 된 후

온도를 내려서 결정을 석출해내는 과정.

온도에 따라 용해도가 다른 것을 이용한다.

★ 실험원리

- 소금 결정은 흰색의 정육면체 모양이다.

- 물질마다 결정 모양은 다르다.

- 결정이 생기는 이유는,

물에 녹았던 소금들이

물이 모두 증발 되면서

더 이상 녹아 있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.

소금물을 묻혔다 말리면

결정이 남게 되고

불을 붙이면 발화점에

도달하지 못하므로 타지않고

결정이 그대로 남아

끊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.

소금물을 묻혔다가 말리면

물만 증발되고

순수한 소금만 남아

결정 석출된다.

○ 주의사항

불을 태우는 실험이 있을 때

주의하여 관찰하게 한다.

3학년(아톰1)

☆ 암기

연역적 탐구방법 :

자연 현상을 관찰하면서

인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

잠정적 답인 가설을 세우고,

가설의 옳고 그름을

검증하는 탐구방법

순서 : 관찰 및 문제 인식 → 가설 설정 → 탐구 설계 및 수행 → 자료 해석 및 가설 검증 → 결론 도출 → (참인 경우) 일반화 or (거짓인 경우) 가설 재설정

귀납적 탐구 방법 :

자연 현상과 대상에 대한

여러 가지 관찰 사실을 종합하고

분석하여 이로부터 일반적인

원리나 법칙을 이끌어 내는 탐구 방법

순서 : 자연 현상 관찰 및 관찰 주제 선정 → 관찰방법과 절차의 고안 및 관찰 수행 → 관찰 결과 분석 → 결론 도출 → 일반화

★ 실험원리

세팍타크로 공 :

준정다면체의 하나인

십이이십면체로

12개의 정오각형과

20개의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.

한 점에 3개의 면이 모이면

합이 360도 이상이 되어서

평면이 때문에 정육각형 만으로 이루어진

정다면체는 존재하지 않는다.

○ 주의사항

세팍타크로 공 이음새가

바깥쪽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.

4학년(아톰2)

☆ 암기

잎의 구조

잎몸 :엽록체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

대체로 햇빛을 잘 받는 형태인 평평한 모양이다.

잎자루 : 잎몸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으로,

잎몸이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

비틀어지는 것이 가능하다.

잎맥 : 잎의 형태를 유지해 주고,

물과 영양분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.

턱잎 : 잎자루 아래에 있는

한 쌍의 잎사귀를 말한다.

속씨식물인 쌍떡잎식물에서는

쉽게 볼 수 있으나 양치식물이나

겉씨식물에서는 볼 수 없다.

잎의 분류 : 잎의 모양, 잎 가장자리 모양,

잎맥의 모양 , 잎의 개수 등

잎의 모양 : 둥근 잎, 바늘 잎,

손바닥 잎, 달걀 모양 잎 등

★ 실험원리

열가소성 플라스틱 :

가열하면 부드럽게 변하며,

틀에 부어 굳히면

새로운 모양을 만들 수 있다.

열경화성 플라스틱 :

가열하면 경화하며(굳어지며),

내열성과 내화학성이 높아서

쉽게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다.

슈링크 필름은

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종류로서

폴리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.

○ 주의사항

오븐에 구울 경우 안 데운 상태에서는

수십초 걸리지만,

오븐에 구운 후 다시 다른 슈링크필름에 데우면

수 초만에 데워진다.

힛툴로 사용할 경우 슈링크 필름에 가까이 하여

가열하면 처음에 많이 휘어진다.

그러다가 완전히 줄어들때까지

거리를 멀리 하지 않게 한다.

5학년(퀀텀1)

☆ 암기

일식 : 달이 태양의 전부

또는 일부를 가리는 천문현상

달의 공전궤도와 지구의 공전 궤도와

5도 어긋나 있어서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.

그래서 삭일 때 특정한 지역에서 볼 수 있다.

- 개기일식 : 태양의 시직경 ≤ 달의 시직경

태양을 완전히 가려져 코로나가 보인다.

​- 금환일식 : 태양의 시직경 > 달의 시직경
태양의 겉부분이 고리로 보인다.



- 부분일식 : 달이 태양의 부분만 가리는 현상

​월식 :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
1년에 2~3번 정도 일어나며 망(보름달)이 되고,밤이 되었을 때
볼 수 있다.

​개기월식: 태양 - 지구 - 달이 공간에서 정확하게 정렬될 때 생기며
달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, 빛의 산란에 의해 짙은 빨간색이 보인다.



★ 실험원리

달의 위상 변화 확인

​달의 공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
알기 위해서 바라보는 위치를 선정하고
공전할 때 발생하는 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
공전방향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면서
달의 오른쪽 부분부터 태양 빛에 반사되어 나오기 시작한다.
삭 - 초승달 - 상현달 - 보름달 - 하현달 - 그믐달 순으로 반복된다.



○ 주의사항

선을 교차하기 전에 번호를 표시하여서
어디를 기준으로 만들어야 하는지 확인한다.



6학년(퀀텀2)

☆ 암기

열팽창 : 온도에 따라 물체의 부피가 변하는 현상(고체<액체<기체)
온도 상승 시 변화 : 길이 증가, 부피 팽창, 입자 운동 속도 증가, 입자 사이의 거리 증가
​기체는 물질에 관계없이 온도가 높아질 때 부피가 늘어나는 정도가 모두 같다.


바이메탈 : 팽창률이 서로 다른 두 금속을 붙인 것 바이메탈 가열 시
열팽창 정도가 작은 쪽으로 휜다.
바이메탈 냉각 시 열팽창 정도가 큰 쪽으로 휜다.


태양의 시직경 ≤ 달의 시직경


태양을 완전히 가려져 코로나가 보인다.


- 금환일식 : 태양의 시직경 > 달의 시직경

태양의 겉부분이 고리로 보인다.


- 부분일식 : 달이 태양의 부분만 가리는 현상


- 월식 :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


1년에 2~3번 정도 일어나며 망(보름달)이 되고, 밤이 되었을 때 볼 수 있다.



개기월식 : 태양 - 지구 - 달이 공간에서 정확하게 정렬될 때 생기며


달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, 빛의 산란에 의해 짙은 빨간색이 보인다.




★ 실험원리



달의 위상 변화 확인



달의 공전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


알기 위해서 바라보는 위치를 선정하고


공전할 때 발생하는


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



공전방향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면서


달의 오른쪽 부분부터


태양 빛에 반사되어 나오기 시작한다.



삭 - 초승달 - 상현달 - 보름달 - 하현달 - 그믐달 순으로 반복된다.



○ 주의사항


선을 교차하기 전에 번호를 표시하여서 어디를 기준으로


만들어야 하는지 확인한다.




6학년(퀀텀2)



☆ 암기


열팽창 : 온도에 따라 물체의 부피가 변하는 현상(고체<액체<기체)


온도 상승 시 변화 : 길이 증가, 부피 팽창, 입자 운동 속도 증가, 입자 사이의 거리 증가


기체는 물질에 관계없이 온도가 높아질 때 부피가 늘어나는 정도가 모두 같다.



바이메탈 : 팽창률이 서로 다른 두 금속을 붙인 것


바이메탈 가열 시 열팽창 정도가 작은 쪽으로 휜다. 바이메탈 냉각 시 열팽창 정도가 큰 쪽으로 휜다.



★ 실험원리

화재경보기를 만드려면,

열팽창 정도가 작은 쪽으로 휘므로

휘어서 전기회로가 저절로

닫히는 방향으로 설치해야 한다.

○ 주의사항

바이메탈에 가열하게 되면

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이 있어서

맨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.

볼트, 와셔, 바이메탈,

너트를 끼워 고정하려면

너트를 처음과 끝을 넣어 감아야 한다.

퀀텀S

☆ 암기

대륙이동설 :

베게너가 주장하였으며

거대한 대륙 판게아가 갈라지고

이동하여

현재와 같은 대륙분포가 되었다는 학설

- 판게아 :

3억 3500만~1억 7500만 년 전

모든 대룩이 하나로 모인 거대한 대륙

- 증거

① 해안선의 일치 : 아프리카 대륙 서해안선과

남미대륙 동해안선 일치함

② 화석의 분포 : 남미와 아프리카 대륙에서

발견된 파충류화석과 식물 화석

(메소사우루스, 글로소프테리스 화석)

③ 빙하의 흔적 :

남아메리카, 아프리카, 인도, 호주지역에서

빙하의 흔적이 발견되었고,

빙하가 이동하면서 긁은 흔적의 방향을 역추론하니

여러대륙이 한 곳에 모이는 것을 발견함

④ 지층과 산맥의 불연속성 :

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북부 대륙의

지질구조의 연계성

한계 : 대륙이 이동하는 원동력을 밝혀내지 못함

판 구조론 :

지각과 맨틀 상부를 포함한

암석층이 이동하는 학설

- 증거 : 지진대와 화산대를 보면

단층이 있다는 것

★ 실험원리

약 3억 3500만년 전 대륙은

하나의 대륙이었다.

약 1억 5천만년 전 대륙은

판게아가 점점 갈라져

이동하기 시작했다.

약 6500만년 전 대륙은 남극대륙이

갈라져 퍼지게 되었고,

인도대륙이 유라시아 대륙쪽으로 이동했고,

남미대륙이 북미대륙과

가까워지고 있었다.

북미대륙은 유라시아 대륙과

떨어지게 되었다.

오늘날 대륙이 6대륙으로

나누어지게 되었다.

(유라시아, 아프리카, 북미, 남미, 호주, 남극)

○ 주의사항

지도를 오릴 때 선에 맞추어 오리고,

칼레이도 사이클을 만들 때

앞뒤로 접었다 펴야 돌려 넘기기 편하다.

청담윈수학학원 (정숙자수학학원)

02 546 3285

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
 

Loading...